탁청정 김유

수운잡방

탁청정(濯淸亭) 김유(金綏)

홈으로 탁청정 김유 > 탁청정 김유

물이 맑으면 갓끈을 씻고 물이 흐리면 발을 씻는다 하니 이는 물이 스스로 취하는 것이다.

탁청정(濯淸亭) 김유金綏(성종22:1491~명종10:1555) 조선 중기 안동 출신의 유생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綏之(유지) 호는 탁청정(濯淸亭), 아버지는 광산김씨 예안 입향조인 농수(聾수) 김효로(金孝盧)로이며 어머니는 증정부인(贈貞夫人) 양성이씨(陽城李氏)로 군수 지(持)의 딸이다.
부인은 순천김씨(順天金氏)로 김수홍(金粹洪)의 딸이다. 아들로 오천칠군자(烏川七君子)로 불리는 김부인(金富仁,1512~1584),김부신(金富信,1523~1566),김부륜(金富倫,1531~1598)을 두었다

1525년(중종 20) 생원시 동방진사과에 2등 24인으로 합격하였고 무예에 정통하여 무과에 응시하였으나 마침내 뜻을 이루지 못하고 드디어 문무 양시를 그만 두고 덕을 숨기고 임천(林泉)에서 살았다. “사람이 한 세상에 태어나 즐거워 하는 것이 무엇이냐에 달렸을 뿐이다.
어찌 꼭 세상의 명예를 따라야 하겠는가”라고 개탄하면서 벼슬길을 단념하고 고향에서 평생 독서하며 유유자적한 생활을 하였다.

또한 성품이 호협(豪俠)하여 빈객을 좋아하여 정자를 수리 확장하고 손님을 맞아 즐기니 선비들이 이 고을을 지나면 반드시 찾아와서 즐겼고 비록 폐의파립(폐衣破笠)한 사람이라도 친절히 대접하고 옳지 못한 사람을 보면 준엄하게 꾸짖어 용서가 없었다.
그의 부친은 81세 모친은 90세로 장수하였는데 형인 緣은 벼슬길에 나아가고 아우인 그가 양친을 극진히 모셨다.

濯淸亭은 공자가 말하기를“물이 맑으면 갓끈을 씻고 물이 흐리면 발을 씻는다 하니 이는 물이 스스로 취하는 것이다”라는 말과 굴원의 어부사에서 “창랑의 물이 맑으면 내 갓끈을 씻고 창랑의 물이 흐리면 내 발을 씻는다”라는 말에서 맑고 깨끗한 선비의 정신을 기리고자 한 뜻임을 알 수 있다.

퇴계 이황이 묘지명을 지었으며, 뒷날 아들 산남 김부인의 현달로 호조참판(戶曹參判) 에 추증되었다.

부인은 순천김씨(順天金氏)로 성균진사로 호조참판을 추증받은 김수홍(金粹洪) 따님으로 내치에 능하고 제사를 정성껏 받들며 손님을 접대함에 민첩하고 소홀함이 없었다고 한다. 세아들을 두었는데 오천 칠군자(烏川七君子)로 불리는 맏은 산남(山南) 김부인 金富仁(1512~1584)으로 농암 이현보의 사위이자 무과로 선전관을 거쳐 해주판관이 되었고, 다음은 양정당(養正堂) 김부신金富信(1523~1566)과 설월당(雪月堂) 김부륜(金富倫)(1531~1598)이니 모두 유학에 독실하였다. 1녀는 충순위 이빙(李憑)에게 출가했다.

퇴계는 공의 비문에서 다음과 같이 명(銘)하였다.

아! 공이 낳을 때부터 자질(資質)이 뛰어 났네.
이미 시 (詩)와 서(書)를 익혔고 또한 육도삼략(六韜三略)도 배웠도다.
문(文)에는 소과(小科)에 합격하였으나 무(武)는 뜻을 이루지 못 하였네
시골에서 그대로 늙으니 남들이 애석히 여겼네.
출세에 뜻은 못 폈으나 일신(一身)은 자족(自足)하여
좋은 곳 오천(烏川)에 밭도 있고 집도 있네.
주방(廚房)에는 진미가 쌓여있고, 독 속에는 술이 항상 넘치도다.
제사(祭祀)하며 봉양(奉養)하고 잔치로써 즐겼네.
생전에 즐거운 일은 자리위의 아름다운 손님이요,
하늘에서 내린 자손은 뜰 앞의 난옥(蘭玉)일세.
용감한 무신(武臣)이여 아름다운 문사(文士)로다.
불어나는 좋은 경사(慶事) 고문(高門)에 걸렸네.
어쩌다가 대단찮은 병세로 갑자기 돌아가니
금할 수 없는 것은 슬픔이요 남은 것은 복이로다.
아름답다 현부인(賢婦人)을 동광(同壙)하라 유언했네.
무덤 앞에 돌 새기니 천추(千秋)를 지내어도 다함이 없으리.

안동향교지(安東鄕校誌)
김유(金綏) (성종22:1491~명종10:1555)
광산인(光山人). 자(字)는 유지(綏之) 호(號)는 탁청정(濯淸亭)이다.
중종20년 사마시(司馬試)에 합격(合格)하고 무예(武藝)에도 뛰어났다.
효성(孝誠)이 지극(至極)하여 부모(父母)의 지양(志養)에 힘썼다.